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도 최저임금이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면서,
많은 분들이 "도대체 주급, 일급, 월급으로는 얼마를 받는 걸까?" 궁금해하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시급 10,320원이 실제 수입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 주휴수당 포함/제외
✔️ 세전 기준과 실수령액 기준
모두 따져가며 하나씩 계산해드립니다!
최저임금인상에 대한 내용이 더 궁금하다면?
✅ 2026년 최저임금 계산을 위한 기본 조건
📅 적용 연도 |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
💰 시급 | 10,320원 (2025년 대비 2.9% 인상) |
🕒 일일 근무 시간 | 8시간 (근로기준법상 1일 법정근로시간 기준) |
📆 주간 근무일수 | 5일 근무제 기준 (주 40시간) |
⏱️ 주간 총 근무시간 | 40시간 (8시간 × 5일) |
📈 주휴수당 적용 시 총 시간 | 48시간 (40시간 + 주휴수당 8시간) |
📦 월 환산 기준 시간 | 209시간 (주 40시간 × 4.345주) |
🧾 주휴수당 포함 여부 | 통상 월급 계산 시 포함됨 (법정 유급휴일 포함) |
🏦 월급 환산 공식 | 시급 × 209시간 = 월 환산액 |
🔍 "209시간"이란?
- 209시간 = 주 40시간 × 평균 4.345주
- 1년은 365일이고, 이를 주(7일)로 나누면 52.14주
- 월평균은 52.14주 ÷ 12개월 = 약 4.345주
- 그래서 근로기준법상 월 환산 시 209시간이 공식 기준이 됩니다
💡 주휴수당 포함 기준은?
-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가
소정 근로일을 개근하면
주 1일분의 유급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음 - 그래서 시급 × 48시간은
👉 주휴수당을 포함한 주급 계산 공식
📘 참고 요약
- 시급 10,320원
- 일급 = 시급 × 8시간 = 82,560원
- 주급 = 시급 × 48시간 = 495,360원
- 월급 = 시급 × 209시간 = 2,156,880원
📌 일급 계산 – 주휴수당 포함 vs 미포함 한눈에 정리
2026년 최저임금 시급은 10,320원입니다.
그렇다면 하루 8시간 근무 시 일급은 얼마일까요?
👉 핵심은 “주휴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 기준 비교표
미포함 기준 | 10,320원 × 8시간 | 82,560원 | 단기·일용직, 하루 근무 등 |
포함 기준 | 10,320원 × (48시간 ÷ 5일) = 10,320원 × 9.6시간 | 99,072원 | 주 15시간 이상 근로 + 개근 시 |
💡 주휴수당 포함 일급은, 주 5일(총 40시간) 근무자가 **주휴수당 1일치(8시간분)**을
5일로 나눠서 매일 일정 비율로 나눈 것과 같아요.
🧾 실수령 기준으로 보면?
미포함 일급 | 82,560원 | 약 76,000 ~ 80,000원 |
포함 일급 | 99,072원 | 약 91,000 ~ 95,000원 |
공제 항목: 소득세, 고용보험, 국민연금 등 (고용 형태에 따라 달라짐)
📌 일급, 주급, 월급, 주휴수당까지 시급만 입력하면 자동 계산되는 시급 계산기,
지금 바로 확인!
⏱️ 근무시간에 따른 일급 예시 (미포함 기준)
4시간 | 10,320 × 4 | 41,280원 |
6시간 | 10,320 × 6 | 61,920원 |
8시간 | 10,320 × 8 | 82,560원 |
⛔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에게는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 정리 한마디
- 하루만 일하면? → 주휴수당 미포함 = 82,560원
- 정규직/주 5일 개근자라면? → 주휴수당 포함 = 99,072원
- 실수령액은 근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월급 계산 (세전 기준, 209시간 기준)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입니다.
그렇다면 매달 받게 되는 **월급(세전 기준)**은 얼마일까요?
✅ 1. 기본 계산 공식
📌 2026년 기준 계산:
👉 세전 기준 월급은 정확히 2,156,880원입니다.
🕒 2. 왜 209시간을 기준으로 하나요?
‘209시간’은 근로기준법상 통상적인 월 근로시간 기준입니다.
주 근로시간 | 40시간 (주 5일 × 8시간) |
1년 주수 | 52.14주 |
월 평균 주수 | 52.14 ÷ 12 ≒ 4.345주 |
월 기준 시간 | 40시간 × 4.345주 = 약 173.8시간 |
- 주휴수당 포함(8시간 × 4.345) ≒ 35시간
→ 총합 ≒ 209시간
✅ 즉, 주휴수당을 포함한 실질 월 근로시간으로 209시간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 3. 월급 계산 예시 (근무 시간 변동 시)
주 40시간 (정규직) | 209시간 | 2,156,880원 |
주 35시간 (단시간 근로자) | 약 182시간 | 1,878,240원 |
주 20시간 (파트타임) | 약 104시간 | 1,073,280원 |
🧾 4.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4대 보험 및 소득세가 빠지면 월 실수령은 다음과 같이 달라집니다.
정규직 (209시간) | 2,156,880원 | 약 1,870,000원 전후 |
단시간 근로자 | 근로시간 비례 | 약 세후 85~88% 수준 |
※ 고용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소득세 등은 개인 상태(나이, 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정리 한마디
- 2026년 최저임금 월급 세전 기준은 2,156,880원
- 209시간은 법정 주휴수당까지 포함한 공식 월 환산 기준
- 실수령은 약 85~88% 수준, 4대 보험 및 소득세 공제 발생
- 파트타임 근로자의 경우, 근무 시간만큼 비례 계산 필요
💡 실수령액은 얼마일까?
💬 "시급 10,320원 받으면 실제 월급은 얼마일까?" 복잡한 계산 없이
시급 계산기로 바로 확인해보세요!
2026년 최저임금 기준 **세전 월급은 2,156,880원(209시간 기준)**입니다.
하지만 실제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은 이보다 적습니다.
왜냐하면? 👉 각종 4대 보험과 세금이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 1. 2026년 최저임금 실수령 계산 요약
시급 | 10,320 |
세전 월급 | 2,156,880 |
실수령 예상액 | 약 1,860,000 ~ 1,890,000 |
※ 공제 수준은 1인 가구, 단독세대 기준으로 계산
🧾 2. 공제 항목별 세부 내역 (예상치)
국민연금 | 4.5% | 약 97,060원 |
건강보험 | 3.545% | 약 76,505원 |
장기요양보험 | 0.433% | 약 9,345원 |
고용보험 | 0.9% | 약 19,410원 |
소득세 | 약 1% 이하 | 약 6,000~10,000원 |
총 공제액 | 평균 11~14% | 약 260,000 ~ 290,000원 |
📌 따라서 실수령액은
2,156,880원 – 약 27만원 = 약 1,880,000원 전후가 됩니다.
🧮 3. 근로 형태별 실수령 예시
정규직 (209시간) | 2,156,880원 | 약 1,880,000원 |
주 30시간 파트타임 | 약 1,548,000원 | 약 1,360,000원 |
주 20시간 단시간 근로 | 약 1,032,000원 | 약 910,000원 |
※ 4대 보험 가입 여부에 따라 더 차이 날 수 있습니다.
🔎 4. 실수령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 📌 4대 보험 가입 여부
→ 아르바이트나 단기 근로자의 경우 미가입 시 공제 없음 - 📌 가족 수/세대 유형
→ 부양가족 수 많으면 소득세 공제 폭 커짐 - 📌 근무 시간
→ 시간제 근무 시 비례해서 계산 - 📌 비과세 수당 포함 여부
→ 식대·교통비 등 비과세 항목이 있다면 실수령액 더 많음
💬 정리 한마디
- 세전 월급 2,156,880원 기준 실수령액은 약 1,860,000 ~ 1,890,000원
- 4대 보험 공제 여부, 가족 수, 근무 형태에 따라 달라짐
-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 “월급 실수령 계산기” 활용도 추천
2026년 시급 10,320원 기준으로 일급, 주급, 월급이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계산하려면
주휴수당과 공제 항목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본문 내용을 참고하시고, 아래 시급 계산기로 간편하게 실수령액까지 확인해보세요.